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은 이탈리아 밀라노에 위치한 국립 음악 교육 기관이다. 1971년 중등 교육 기관으로 시작하여 2010년 정규 교육 과정으로 전환되었으며, 다양한 수준의 음악 교육을 제공한다. 학사 및 석사 과정을 통해 현악기, 성악, 작곡, 음악학, 재즈 등 다양한 전공을 제공하며, 자코모 푸치니, 클라우디오 아바도 등 저명한 음악가와 지휘자를 배출했다. 주요 시설로는 베르디 홀, 푸치니 홀, 파이프 오르간, 도서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라노의 음악 - 밀라노 주세페 베르디 교향악단
밀라노 주세페 베르디 교향악단은 1993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오케스트라로, 해외 공연, 음반 녹음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2024년부터 에마뉘엘 체크나보리안이 음악 감독을 맡고 있다. - 밀라노의 음악 - 스칼라 극장
스칼라 극장은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는 오페라 극장으로, 1778년 개관하여 세계적인 오페라 공연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에 따라 2000석 규모의 객석과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무대를 갖추고 있다. - 이탈리아의 음악 학교 - 키지아나 음악원
키지아나 음악원은 1932년 귀도 키지 사라치니 백작이 이탈리아 시에나에 설립한 음악 교육기관으로, 주요 악기, 성악, 지휘, 작곡 전공을 교육하며, 여름에 키지아나 음악제를 개최하여 세계적인 음악가들의 마스터 클래스를 제공하고, 젊은 작곡가를 위한 콩쿠르와 국제음악상을 운영한다. - 이탈리아의 음악 학교 -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은 1565년 설립된 콘그레가치오네 데 무지치 디 로마에서 기원하여 1870년 국립 음악원으로 발전한 이탈리아 로마의 음악 교육기관으로, 학사 및 석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30만 권이 넘는 장서를 소장한 도서관을 운영하고 조수미, 엔니오 모리코네, 체칠리아 바르톨리 등 저명한 음악가를 배출했다.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밀라노, 이탈리아 |
주소 | Via Conservatorio, 12 |
좌표 | 45 |
웹사이트 | 밀라노 음악원 공식 웹사이트 |
학교 정보 | |
이름 |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
로마자 표기 | Milano Beodeu Gungnip Eumakwon |
이탈리아어 표기 | Conservatorio di Milano |
역사 | |
설립 | 1807년 |
역사적 개요 | 밀라노 음악원은 1807년에 설립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음악 교육 기관 중 하나이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수많은 유명 음악가를 배출했다. |
교육 | |
제공 과정 | 다양한 학사 및 석사 과정 제공 (기악, 성악, 작곡, 지휘 등) |
국제 교류 |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통한 국제 교류 활발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주세페 베르디 (이름을 딴 음악원) |
특징 | 이탈리아 음악 교육의 중심지, 풍부한 역사와 전통 |
2. 역사
2. 1. 설립 배경
2. 2. 발전 과정
2. 3. 주요 연혁
1971년 중등교육 기관 'Liceo Musicale'가 개교했다.[9][10] 1981년에는 이탈리아 교육부와 실험적인 교육과정을 시작했으며, 2010년 실험적 교육과정이 종료되고 정규 교육과정으로 전환되었다.[9][10]3. 교육 과정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은 다양한 수준의 예술 교육을 포함하여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전문화에 이르는 광범위한 음악 교육을 제공한다.[8]
교육과정 | 이탈리아어 | 영어 |
---|---|---|
활, 현악기 및 발현악기 | Archi, corde e strumenti a pizzico | Bows, strings and plucked instruments |
성악 및 성악 실내악 | Canto e musica vocale da camera | Singing and vocal chamber music |
작곡 | Composizione | Composition |
음악학 | Musicologia | Musicology |
음악 교육 | Didattica della Musica | Music Education |
관현악 지휘, 합창 지휘 및 합창 작곡 | Direzione d’orchestra, direzione di coro e composizione corale | Orchestral conducting, choral conducting and choral composition |
관악기 | Fiati | Wind instruments |
재즈 | Jazz | Jazz |
반주자/성악 코치 | Maestro collaboratore | Collaborative Pianist/Vocal Coach |
고대 음악 | Musica antica | Ancient music |
앙상블 음악 | Musica d’insieme | Ensemble music |
전자 음악 | Musica elettronica | Electronic music |
음악 치료 | Musicoterapia | Music therapy |
전통 음악 | Musiche tradizionali | Traditional music |
대중 음악 | Popular music | Popular music |
건반 및 타악기, 오르간 | Strumenti a tastiera e percussione, organo | Keyboard and percussion instruments, organ |
관악기 편곡 | Strumentazione per orchestra di fiati | Instrumentation for wind orchestra |
석사 학위 | Master | Master's degree |
기타 과정 | Altri corsi | Other courses |
3. 1. 학위 과정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은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전문화에 이르는 광범위한 음악 교육을 제공한다.[8]학사 과정에서는 활, 현악기 및 발현악기, 성악 및 성악 실내악, 작곡, 음악학, 음악 교육, 관현악 지휘, 합창 지휘 및 합창 작곡, 관악기, 재즈, 반주자/성악 코치, 고대 음악, 앙상블 음악, 전자 음악, 음악 치료, 전통 음악, 대중 음악, 건반 및 타악기, 오르간, 관악기 편곡 등 다양한 전공을 제공한다. 석사 학위 과정에서는 전문 연주자 양성을 위한 심화 과정을 제공한다.
3. 2. 세부 전공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은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전문화에 이르는 광범위한 음악 교육을 제공한다.[8] 활, 현악기 및 발현악기, 성악 및 성악 실내악, 작곡, 음악학, 음악 교육, 관현악 지휘, 합창 지휘 및 합창 작곡, 관악기, 재즈, 반주자/성악 코치, 고대 음악, 앙상블 음악, 전자 음악, 음악 치료, 전통 음악, 대중 음악, 건반 및 타악기, 오르간, 관악기 편곡등의 과정이 있다.4.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
200년의 역사 동안 이 음악원은 파우스토 로미텔리, 오스카 비앙키, 루카 프란세스코니, 스테파노 게르바소니, 마르코 스트로파, 자코모 푸치니, 카를로 알프레도 피아티, 아밀카레 폰키엘리, 아리고 보이토, 조반니 보테시니, 알프레도 카탈라니, 리카르도 샤이 , 아멜리타 갈리 쿠르치, 비토리오 잔니니, 스키피오네 귀디, 브루노 마데르나, 피에트로 마스카니, 잔 카를로 메노티, 프란시스코 미그노니, 리카르도 무티, 커켄 알렘샤, 이탈로 몬테메치, 펠리치아노 스트레포니, 알세오 갈리에라,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주세페 안달로로, 마리오 나스침베네, 마우리치오 폴리니,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안토니노 폴리아니, 비토리오 파리시, 리카르도 시니가글리아, 엔리케 마졸라, 자난드레아 노세다 및 클라우디오 아바도 등 이탈리아에서 가장 저명한 음악가 및 지휘자를 배출했다.[6]
다른 주목할만한 학생으로는 작곡가 마거리트 치머만, 알프레도 안토니니,[7] 및 알레산드로 솔비아티, 가수 플로린 체자르 오아투 및 파올로 안드레아 디 피에트로 등이 있다.
유명한 역대 교수로는 프란체스코 람페르티와 그의 아들 조반니 바티스타 람페르티가 있다. 밀라노 음악원에서 가르친 저명한 교수로는 조르조 바티스텔리, 프랑코 도나토니, 로렌초 페레로, 리카르도 무티, 엔리코 폴로, 아밀카레 폰키엘리, 살바토레 콰시모도, 알레산드로 솔비아티 등이 있다.
4. 1. 동문
200년의 역사 동안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은 자코모 푸치니, 아밀카레 폰키엘리, 아리고 보이토, 리카르도 무티, 마우리치오 폴리니,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클라우디오 아바도 등 이탈리아에서 가장 저명한 음악가 및 지휘자를 배출했다.[6]다른 주목할만한 학생으로는 작곡가 마거리트 치머만, 알프레도 안토니니,[7] 등이 있다.
4. 2. 교수진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에는 유명한 교수진들이 많다. 성악에는 프란체스코 람페르티와 그의 아들 조반니 바티스타 람페르티가 있다.[6] 작곡, 지휘,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는 조르조 바티스텔리, 프랑코 도나토니, 로렌초 페레로, 리카르도 무티, 엔리코 폴로, 아밀카레 폰키엘리, 살바토레 콰시모도, 알레산드로 솔비아티 등이 있다.[6]5. 시설
5. 1. 콘서트홀
베르디 홀(Sala Verdi)과 푸치니 홀(Sala Puccini)은 교내 주요 콘서트 홀이다.베르디 홀은 1,580석을 수용하며,[11] 산타 마리아 델라 파시오네(Santa Maria della Passione)의 첫 번째 회랑 (cloister)자리에 1908년에 지었다.[12][13] 1943년 8월 폭격으로 파괴된 후, 건축가 페르디난도 레조리가 재건하였고, 1958년 5월 18일 안토니노 보토가 지휘한 콘서트로 개관했다.[12] 베르디 홀의 음향은 유럽에서 가장 훌륭한 수준이다. 베르디 홀은 밀라노의 주요 콘서트 시즌의 중심지이며, 일반적인 콘서트 홀과 같이 코트룸과 지하 드레스룸이 있다. 베르디 홀은 오전 시간에는 재학생 교육에도 사용한다.
푸치니 홀은 342석을 수용하며, 제2차 세계 대전 폭격 이후 건축되었고 1952년 11월에 개관했다.[14] 이후 재개발 프로젝트를 거쳤으며, 마지막으로 2001년에 움베르토 미켈리 재단에 의해 현재 형태를 갖추고 있다. 푸치니 홀은 재학생 교육, 시험, 마스터 클라스, 오케스트라 연습과 음악원이 주최하는 공개 콘서트에 사용되며, 저녁에는 외부 공연도 열린다.
5. 2. 파이프 오르간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의 살라 베르디에는 Vegezzi Bossi사의 Celestine Balbiani가 제작한 대형 연주용 파이프 오르간(작품 번호 1818)이 있다.[15] 이 콘솔은 61개의 키로 구성된 네 개의 건반과 32개의 오목-방사형 페달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는 전기로 전송된다. 그러나 이 악기는 수년 간 사용되지 않고 있다. 오르간 룸 1에는 Vegezzi Bossi사의 Celestine Balbiani가 제작한 전기식 파이프 오르간이 있으며, 61개의 키로 구성된 두 개의 건반과 32개의 오목-방사형 페달보드로 구성되어 있다.오르간 룸 2에는 1985년부터 마스치오니 사에서 제작한 완전 기계식 전송 방식의 오르간(작품 번호 1071)이 있다.[15] 이 콘솔은 61개의 키로 구성된 두 개의 건반과 32개의 오목-방사형 페달보드로 구성되어 있다. 룸 124에는 Fratelli Ruffatti 사에서 제작한 완전 기계식 전송 방식의 파이프 오르간이 있으며, 58개의 키로 구성된 두 개의 건반과 30개의 오목-방사형 페달보드로 구성되어 있다.
5. 3. 도서관 (Biblioteca del conservatorio Giuseppe Verdi)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의 도서관은 1808년에 설립되었으며, 음악 분야의 역사 및 과학적 연구를 위한 가장 많은 이탈리아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도서관에는 500,000권 이상의 문서가 있는데, 그 중 약 50,000권은 악보이고 30,000권은 음악 관련 서적이다. 또한 약 400 종의 음악 정기간행물을 보유하고 있다.6. 한국 음악 교육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Cenni storici sul R. Conservatorio di musica in Milano
http://archive.org/d[...]
Milano : Ricordi
null
[2]
웹인용
Home - Conservatorio di Milano
https://www.consmi.i[...]
2024-08-02
[3]
웹인용
State Conservatory of Music of MILAN "Giuseppe Verdi"
https://ustat.mur.go[...]
2024-08-01
[4]
웹인용
La Storia - Conservatorio di Milano
https://www.consmi.i[...]
2024-07-31
[5]
웹인용
Masterclass Erasmus – Conservatorio di Milano
https://internationa[...]
2024-08-02
[6]
웹인용
List of Milan Conservatory alumni - FamousFix List
https://www.famousfi[...]
2024-08-02
[7]
웹인용
Alfredo Antonini
https://www.imdb.com[...]
2018-04-15
[8]
웹인용
Offerta formativa - Conservatorio di Milano
https://www.consmi.i[...]
2024-07-31
[9]
웹인용
Presentazione
http://www.icscuocos[...]
Istituto Omnicomprensivo Musicale Statale di Milano
2016-01-13
[10]
웹인용
Il liceo musicale G. Verdi di Milano
http://www.consmilan[...]
Conservatorio “Giuseppe Verdi” di Milano
2016-01-13
[11]
문서
Sala Verdi, floor plan
https://www.consmi.i[...]
[12]
웹인용
Sala Verdi - Conservatorio di Milano
https://www.consmi.i[...]
2024-07-31
[13]
웹인용
Apre la nuova Sala Verdi al Conservatorio
https://museomilano.[...]
2024-08-02
[14]
웹인용
Sala Puccini - Conservatorio di Milano
https://www.consmi.i[...]
2024-07-31
[15]
웹인용
Un nuovo organo da concerto a Milano, Organi & Organisti
https://www.organieo[...]
2024-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